공기업과 공공기관은 국민의 복리 증진을 위해 정부가 설립한 기관이지만, 운영 방식과 목적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2025년 현재 우리나라에는 총 331개의 공공기관이 있으며, 이 중 31개가 공기업으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공공서비스의 안정적 제공과 국민 생활 향상을 위해 이들 기관의 역할과 특징을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공기업의 정의와 특징
공기업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설립하여 운영하는 기업으로, 전력, 철도, 우편, 상수도와 같은 필수 공공서비스를 제공합니다. 공기업으로 지정되기 위해서는 직원 300명 이상, 총수입액 200억 원 이상, 자산규모 30억 원 이상이면서 자체수입액이 총수입의 50% 이상을 차지해야 합니다.
공기업의 유형 구분
시장형 공기업
- 자산규모 2조 원 이상
- 총수입 중 자체수입 비율 85% 이상
- 대표기관: 한국전력공사, 인천국제공항공사, 한국가스공사
준시장형 공기업
- 자체수입 비율 50~85%
- 대표기관: 한국조폐공사, 한국방송광고진흥공사


공공기관의 개념과 분류
공공기관은 정부의 출연, 출자 또는 재정지원으로 설립·운영되는 기관을 의미합니다. 2025년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 공기업: 31개
- 준정부기관: 57개
- 기타공공기관: 243개
공기업과 공공기관의 주요 차이점
구분 | 공기업 | 일반 공공기관 |
---|---|---|
수입구조 | 자체수입 50% 이상 | 정부지원 중심 |
운영목적 | 수익성과 공공성 동시 추구 | 공공성 위주 |
독립성 | 상대적 높음 | 정부 의존도 높음 |
주요 사업 분야별 특성
에너지 공기업
- 전기, 가스 등 에너지 산업 담당
- 한국전력공사, 한국가스공사 등
SOC 공기업
- 도로, 항만, 철도, 공항 등 사회간접자본 관리
- 한국공항공사, 한국도로공사 등
재무건전성 관리
공공기관의 부채 관리가 중요한 이슈로 대두되고 있습니다. 2025년 예산안 677조원을 모두 투입해도 해결하기 어려울 정도로 부채가 증가하고 있어, 정부는 재무건전성 강화를 위한 관리계획을 수립하고 있습니다.
현대 사회에서 공기업과 공공기관은 국민 생활의 필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추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이들 기관의 효율적인 운영과 건전성 확보는 국가 경제의 안정적 발전을 위한 핵심 과제라 할 수 있습니다.

